Shonny Data

[데이터 분석] 직무 도메인 분석 본문

Sparta_coding_club

[데이터 분석] 직무 도메인 분석

데이터분석쇼니 2024. 1. 10. 19:12

도메인 지식 (Domain Knowledge)

비즈니스 분야에 대한 이해가 없다면, 데이터 분석 결과를 제대로 해석할 수 없습니다.
또한, 도메인 지식이 없다면 분석 결과를 활용하여 적절한 비즈니스 결정을 내리기 어렵습니다.
따라서, 데이터 분석을 수행하기 전에는 해당 도메인에 대한 충분한 이해가 필요합니다.

데이터 분석은 데이터를 수집, 정제, 가공하여 유용한 정보를 추출하는 과정입니다.
데이터 분석을 위해서는 다양한 분야에 대한 지식이 필요합니다.
먼저 비즈니스 분야에 대한 이해가 필요합니다.
데이터 분석은 비즈니스 결정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비즈니스 분야에 대한 이해가 있어야 데이터 분석 결과를 해석하고 결정을 할 수 있습니다. 데

이터 분석에서 비즈니스 도메인 리스트는 아래와 같습니다.

- 고객 관리 (CRM)
- 마케팅 (Marketing)
- 금융 (Finance)
- 유통 (Logistics)
- 인사/인력 관리 (HR)
- 건강관리 (Health tech)
- 생산/제조 (Manufacturing)
- 교육 (Edcuation)
- 정부 및 공공기관 (Government)

(출처 : https://careerly.co.kr/comments/78269)

 

도메인 지식 (Domain Knowledge)


1. 도메인 이해
 데이터 분석을 할 때 필요한건 데이터 처리, 분석 과정 뿐만 아니라, 데이터에 대한 도메인 이해도, 데이터 이해 능력도 필요합니다. 도메인의 특성에 따라서 데이터의 상황, 케이스, 이상치, 분석 알고리즘 적용, 데이터 처리 등 이 달라집니다. 예를 들어서 금융쪽 데이터는 제 생각에는 가장 깔끔하게 정리 되어 있지만, 여러가지 규제의 제한을 받습니다. 이게 도메인 특성의 한가지라고 생각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2. 과제 정의 
시니어로 갈수록 중요한 요건인데 중요 과제에 대한 key word를 가지고 분석 과제를 정의 할 수 있는 능력이 필요합니다. 보통 어떤 분석 주제를 제공하기도 하지만 시니어의 경우 과제 정의가 분석의 시작이 됩니다.

3. 데이터 분석 프로세스 
분석의 과정에 대한 이해를 하고 어떻게 과정으로 진행할 수 있는지 본인이 업무 정의를 할수 있는 수준은 되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4. 본인의 역할 
프로젝트 전체적인 프로세스와 본인이 그 중 어떤 프로세스를 맡아서 진행했고, 어떤 역할로 어떤 문제를 해결했는지 100% 이해하고 설명할 수 있어야 합니다. 이게 주니어 일수록 아주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5. 데이터 분석 능력 
여러가지 말씀을 드리지만 데이터를 보고 이해도를 높여야 합니다. 데이터 분석 중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부분이 저는 EDA라고 생각합니다. 데이터를 탐색하고 인사이트를 잘 찾을 수 있는 능력이 데이터 분석가의 기본 자질 이라고 생각합니다. EDA 분석 케이스는 나중에 한번 더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물론 EDA 뿐만 아니라 다른 분석 능력과 프로세스들도 중요하지만 이 부분은 많은 분석 과정을 통해서 경험으로 쌓아가야 하는 영역이라고 생각합니다.

 

데이터분석 프로젝트 예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