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honny Data
[Python] loc / iloc 문법 본문
| 데이터 프레임 인덱싱
- 데이터 프레임에서 특정 행이나 열(Column)을 골라낼 때 사용하는 방법
■ 01. loc
- loc 은 location 의 약어
- 데이터 프레임의 행 / 칼럼의 라벨이나 불(bool)로 인덱싱하는 방법
- 사람이 읽을 수 있는 라벨 값으로 특정 값들을 불러오는 방법
□ 데이터 프레임의 행과 열 불러오기
df.loc[행 인덱싱 값, 열 인덱싱 값]
df.loc[0]
-- 행의 값이 0인 데이터 값 불러와줘
df.loc[0, 'Name']
-- 행의 값이 0인 데이터에서 'Name'(컬럼값)의 값을 불러와줘
□ 데이터 프레임의 범위 불러오기
df.loc[:]
-- 전체 값을 보여줘
df.loc[:,:]
-- 전체 행의 전체 열(컬럼)값을 보여줘
df.loc[:, 'Name']
-- 전체 행의 Name값을 보여줘
-- 전체 Name을 보여줘
□ 데이터 프레임의 특정 값 불러오기
df.loc[df['Number'] == 3]
-- 데이터 프레임에서 'Number의 값이 3인 데이터를 보여줘
df.loc[(df['Number'] == 3) | (df['Age'] >= 30)]
-- 조건이 두개일 경우 가운데 |(바) 사용
2. iloc
- iloc 은 integer location 의 약어
- 데이터 프레임의 행이나 칼럼의 순서를 나타내는 정수로 특정 값을 추출해오는 방법
- iloc 은 컴퓨터가 읽기 좋은 방법(숫자로!) 데이터가 있는 위치(순서)에 접근하는 방법
□ 데이터 프레임의 행과 열 불러오기
df.iloc[행 인덱싱 값, 열 인덱싱 값]
df.iloc[0]
-- 전체에서 0번째 행에 있는 데이터를 보여줘
df.iloc[0, 2]
-- 0번째 행의 2번째 열 데이터를 보여줘
□ 데이터 프레임의 범위 불러오기
df.iloc[:5, :5]
-- 데이터 프레임의 0부터 4번째 행/열을 불러와줘
df.iloc[::2, :]
-- 데이터 프레임의 짝수 행(::2)을 불러와줘
□ 단, iloc은 문자를 사용하게 되면 오류 발생
'Sparta_coding_club > Pyth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Python] 결측치 확인 / isna · notna · isnull · notnull (0) | 2024.01.24 |
---|---|
[Python] 결측치 제거 / Null값 제거(NaN, NA 대체) / dropna · fillna (1) | 2024.01.24 |
[Python] datetime / timestamp 문법 (1) | 2024.01.23 |
Python - 파이썬 문법 뽀개기 총정리 ① (0) | 2024.01.04 |
데이터 분석 종합반 - 전체 강의 다시보기 ② (0) | 2024.01.04 |